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Organozations
- 프리티어
- 숫자 문자열과 영단어
- sql developer
- gitalb
- Cloudtrail
- 완주하지 못한 선수
- The Network Adapter could not establish the connection
- 코딩테스트
- Trusted Advisor
- AWS 모니터링 및 분석 서비스
- 인스턴스 연결
- list map 차이
- EC2
- cloudWatch
- 인바운드 규칙
- 이클립스 에러
- aws#멘땅의헤딩#
- oracle
- 인스턴스 생성
- 신규 아이디 추천
- aws#키페어
- The virtual machine was unable to remove all stack frames running old code from the call stack
- aws#aws기초자격증#EBS#S3#EFS
- timed out
- Auraro
- aws
- 보안그룹
- AWS 기초자격증
- rds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37)
시작하기, 뭐든

시작하기, 뭐든 - 기록 12일차 AWS EC2 프리티어로는 gitlab을 설치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이제 데이터베이스를 깔아보려고 한다. AWS 공부하면서 처음 알게된 Amazone Aurora가 궁금해서 선택해봤다! (이때까진 알지 못했다. 프리 티어에서는 Aurora가 설치되지 않는다는 것을..) Aurora란? 먼저, Aurora가 뭔지 간략하게 알고 가자. Aurora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라서 기존에 RDBS를 써온 사람들에게 NoSQL 기반인 DynamoDB보다 좀더 친화적일거 생각해서 선택했다. 이미 AWS에는 RDS 데이터베이스 엔진이 있기 때문에 굳이 Aurora를 써야되나 싶긴 하겠지만, 정말 간단하게 정리하면 스토리지랑 관리 주체가 가장 큰 차이가 있는거 같다. (물론 내가 신경..
시작하기, 뭐든 - 기록 11일차 오늘은 aws 기초 자격증 기출문제 풀 때마다 묘~하게 헷갈리는 부분을 정리해봤다. 바로, 공동책임모델! 공동책임모델 고객 책임 AWS 책임 IAM 자격 증명의 수명 주기 관리 글로벌 인프라의 물리적 보안 EBS 볼륨 암호화 운영 체제 패치 방화벽 구성 서버 측 암호화 게스트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 구성 인프라 장치의 구성 유지, 관리 고객 데이터 "물리적"인 보안, 혹은 "고객 데이터"에 대한 보안 및 암호화 같이 명확한 키워드가 있는 것들은 각각 aws, 고객 책임이구나..쉽게 알수 있다. 그런데, 문제 풀 때마다 패치 관련된 부분들?이 은근 헷갈리는거 같다. 어떤 경우는 고객, 어떤 경우는 aws 책임. 일단 "ec2 인스턴스" 안에 설정한 것들은 고..
시작하기, 뭐든 - 기록 10일차 aws 기초 자격증을 공부하다보면, 꼭 헷갈리는 개념들이 있다. 이전에 정리했던 IAM과 Oranaizations 같은 것들이나 이번에 정리하는 모니터링 분석 도구들! aws 강의나 정리된 것들을 보면 줄글이라 읽다보면 다시 헷갈려져서 표로 정리해봤다. 역시 헷갈릴 때는 표로 한번에 보는게 제일 좋은듯. AWS 모니터링 및 분석 서비스 CloudWatch CloudTrail Trusted Advisor 지표 기반 계정에 대한 사용자 활동 및 API 호출 기록 환경을 검사하고, 모범 사례에 따라 실시간 권장 사항을 제시 모니터링 및 관리 애플리케이션 및 리소스에 대한 사용자 활동 및 API 호출 전체내역 확인 가능 모범 사례 : 비용 최적화, 성능, 보안, 내결함성, 서비..

시작하기, 뭐든 - 기록 9일차 여태 나는 aws ec2 프리티어에 gitlab을 설치하고 있었다. 그리고 오늘... 내가 gitlab 설치를 실패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찾았다. 인스턴스를 만들 때, 난 당연히 프리 티어에서 사용 가능한 t2.micro를 선택했다. 그리고 이건.. gitalb을 설치할 수 없는 가장 큰 이유가 되버렸던 것이다! t2.micro에서는 gitalb이 제대로 돌아가지 않기 때문에 최소 t2.medium을 권장하고 있었다.. aws marketplace에 gitalb cummunity edition에는 t2.micro 선택지가 있지만 찾아보니 micro로는 처절한 성능이 나온다고 한다. gitlab ce 패키지로 올라온걸 보면 아예 micro는 있지도 않다. t2.micro 버..

시작하기, 뭐든 - 8일차 오늘은 꼭 드디어 반드시 내 ec2 ubuntu에 gitlab을 깔아야겠다. 1. 일단, 레파지토리부터 다시 설치하자! curl https://packages.gitlab.com/install/repositories/gitlab/gitlab-ce/script.deb.sh | sudo bash 2. 깃랩을 설치해주자 sudo EXTERNAL_URL="http://gitlab.example.com/" apt-get install gitlab-ce external_url은 수정하면 되니깐, 일단 example url로 설정하고 설치하자. 저번 포스팅에서 ec2 퍼블릭 dns로 url을 설정했었는데, 그게 에러가 나는듯 하여 바꿔봤다. 아직 EIP를 설정하지 않았는데 계속 변경되는 퍼..

시작하기, 뭐든 - 7일차 두 번째 aws ec2 우분투에 드디어 접속했으니, 이젠 gitlab을 설치해보려 한다. gitlab을 깔고, 나중에는 ci/cd되는 runner까지 하는게 목표긴 한데, 일단 gitalb부터 설치해보자! gitalb 설치하기 apt를 이용해보자. 1. 먼저, 우분투 업데이트부터 진행한다. $ sudo apt update 2. 그 다음은 인증서 관련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ca-certificates는 프록시 환경에서 https 이용할 때 인증오류나는 경우에 대비해서, root 인증서를 등록시켜놓으려고 설치하는거 같은데, 이거에 대해서는 더 공부가 필요해보였다. gitlab 환경을 만들어가면서 알아가보도록 하자! $ sudo apt install -y curl openssh-se..

시작하기, 뭐든 - 기록 6일차 ec2 인스턴스는 EIP(고정 IP)를 지정하지 않으면, 중지하고 새로 시작할 때마다 DNS와 퍼블릭 IP 주소가 바뀐다. 인스턴스를 새로 만들었을 때 DNS, IP는 아래와 같았다. 인스턴스를 중지하고 다시 실행해서 살펴보니, DNS와 IP 가 바뀐걸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서 퍼블릭 IP 옆에 탄력적 IP(EIP)를 만들면 변경없이 고정된 IP를 쓸 수 있는거 같다. 인스턴스가 실행중이라 했을 때 1개의 EIP는 무료라고 하니, 만들어서 나쁠건 없어 보인다. 저번 포스팅에서 접속 timed out 문제가 생겨서 EIP 문제인가 싶었는데, 오늘 다시 접속해보니.. 무슨 변덕인지 알 수가 없다;;; 일단, 접속이 됐는데 처음 접속할 때 무슨 이상한 말..같은게 떳다. Th..

시작하기, 뭐든 - 기록 5일차 2번째 우분투 ec2를 만들었으니 이제 연결을 해보려 한다. 흠.. os나 리눅스의 경우 ssh를 이용해서 연결해야하니, 일단 터미널을 열어보기로 한다. 연결하는 방법이나 명령어들은 아주 친절하게 aws에서 제공해준다. 생성한 인스턴스로 들어가서 "연결" 버튼을 누르면, 이렇게 알려준다. 이제 하나하나 따라가보자. 인스턴스 만들 때 애를 먹었던 key pair를 이제 쓸 때가 된거 같다! key pair을 바로 쓰기 전에, 키 파일의 권한을 변경?해야 한다. 그냥 key pair 문서를 쓰게되면 권한이 너무 많아서 에러가 난다고 하니, 최소 권한인 400으로 부여해보자. 생각 없이 터미널에 들어가자마자 권한부여하는 명령어 썼다가 경로에 파일이 없다는...그런 쪽팔린 경험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