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기, 뭐든

AWS로 우분투환경 만들기 4차 - ssh를 이용한 인스턴스 연결 ( 근데 이제 timed out 에러를 곁들인..) 본문

aws 관련

AWS로 우분투환경 만들기 4차 - ssh를 이용한 인스턴스 연결 ( 근데 이제 timed out 에러를 곁들인..)

Gascon 2021. 12. 24. 21:23

시작하기, 뭐든 - 기록 5일차 2번째

 

우분투 ec2를 만들었으니 이제 연결을 해보려 한다.

흠.. os나 리눅스의 경우 ssh를 이용해서 연결해야하니, 일단 터미널을 열어보기로 한다.

 

연결하는 방법이나 명령어들은 아주 친절하게 aws에서 제공해준다.

생성한 인스턴스로 들어가서 "연결" 버튼을 누르면,

이렇게 알려준다.  이제 하나하나 따라가보자.

 

인스턴스 만들 때 애를 먹었던 key pair를 이제 쓸 때가 된거 같다!

key pair을 바로 쓰기 전에, 키 파일의 권한을 변경?해야 한다. 그냥 key pair 문서를 쓰게되면 권한이 너무 많아서 에러가 난다고 하니,

최소 권한인 400으로 부여해보자.

 

생각 없이 터미널에 들어가자마자 권한부여하는 명령어 썼다가 경로에 파일이 없다는...그런 쪽팔린 경험은 스크린샷에서 빼고,

키 페어가 있는 위치로 들어가서 권한은 변경해보자.(이 당연한걸 나는 왜....)

 

chmod 400 [다운받은 키페어 이름]
ex) chmod 400 ubuntu_gitlab_key_pair_1.pem

그 다음은 key pair를 이용해서 연결만 해주면 된다.

 

ssh -i "key pair 이름" 서버이름@퍼블릭 DNS 주소 
ex) ssh -i "ubuntu_gitlab_key_pair_1.pem" ubuntu@ec2-54-180-136-210.ap-northeast-2.compute.amazonaws.com

key pair 권한 부여해주고 접속만 해주면 되는 간단한...거랬는데 이렇게 간단하면 재미가 없어서 그런걸까

한번에 된 적이 없는거 같다 ㅠㅠ

상큼한 타임아웃 에러가 떳으니깐 말이다^^&

 

소소한 구글링을 해보니 인스턴스 생성할 때 얘기가 잠깐 나왔던 EIP가 안되어 있어서 그럴 수도 있다는 나름의 희망찬? 글을 봤다.

인스턴스 연결 완료는 아주 잠시 뒤로 보내고, EIP 포스팅과 함께 이 문제를 해결해봐야겠다.

 

끝!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