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기, 뭐든

AWS 스토리지별 요약(EBS, S3, EFS) 본문

aws 관련

AWS 스토리지별 요약(EBS, S3, EFS)

Gascon 2021. 12. 21. 21:57

시작하기, 뭐든 - 기록 2일차

 

요즘 aws 기초 자격증을 공부하는데 스토리지별 차이점을 좀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정리를 해봤다.

지금은 자격증 공부하면서 강의들은 내용 바탕으로 정리했는데, 나중에는 실제로 사용했을 때 후기를 남길 수 있기를...

 

AWS 스토리지별 요약
EBS S3 EFS
블록수준 스토리지 객체 수준 스토리지 파일 스토리지
구성(볼륨 크기 및 유형) 정의 + 볼륨 프로비저닝 데이터를 버킷에 객체로 저장
(여러 버킷을 만들고 다양한 데이터 클래스나 계층에 저장 가능)
스토리지 서버가 블록 스토리지를 로컬 파일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여 파일을 구성
블록 단위로 업데이트
(작은 편집을 다수 수행하는 것에 유리)
-> 복잡한 읽기, 쓰기, 변경 기능 수행에 유리
객체 단위로 전체 업데이트
(완성 객체를 사용하거나 변경 회수가 적은 경우 유리)
많은 수의 서비스 및 리소스가 동시에 동일한 데이터에 엑세스 해야하는 경우에 유리
볼륨 생성 -> EC2 인스턴스에 연결
=> EC2 인스턴스 필요
서버리스. EC2 인스턴스가 필요없음. AWS 클라우드 및 온프레미스 리소스와 함께 사용.
(온프레미스 서버는 AWS Direct Connect를 사용해서 엑세스)
자동으로 규모 조정하거나, 스토리지를 추가하지 않음. 저장공간 무제한, 객체 최대 크기 5TB 파일이 추가 및 제거되면 자동으로 규모 조정
(추가 볼륨 자동 확장 - 페타바이트 규모로 확장 가능)
단일가용영역 수준의 리소스
EC2에 EBS 연결하려면 같은 AZ에 있어야 함.
리전별로 분산되어 있어서 내구성이 좋음. 리전별 서비스. 
여러 가용 영역에 걸쳐 데이터 저장
블록 단위로 업데이트
(작은 편집을 다수 수행하는 것에 유리)
-> 복잡한 읽기, 쓰기, 변경 기능 수행에 유리
객체 단위로 전체 업데이트
(완성 객체를 사용하거나 변경 회수가 적은 경우 유리)
기존 파일 시스템을 유지하면서 규모 조정, 복제가 자동
SSD/HDD 모두 제공 한 번 쓰기/여러 번 읽기(WORM)에 특화 -
웹을 지원. 모든 객체에 URL이 있음.
파일 업로드할 때 엑세스 제어 가능
버전 관리 가능

 

스토리지별 정리하면서 S3의 클래스별 정리도 해봤다.

S3 클래스별 정리
스토리지 스토리지 클래스 특징
S3 Standard 자주 엑세스 하는 데이터용
최소 3개의 가용 영역에 데이터 저장
Standard-Infrequent Acess(S3 Standard-IA) 자주 엑세스 하지 않는 데이터용
최소 3개 이상의 가용 영역에 데이터 저장
S3 Standard 스토리지 가격보다 더 저렴하고 검색가격은 더 높음
One Zone-Infrequent Access(S3 One Zone-IA) 단일 가용 영역에 데이터 저장
(단일 AZ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쉽게 재현 가능한 경우에 적합)
낮은 스토리지 가격
Intellignet-Tiering 엑세스 패턴을 알 수 없거나 자주 변하는 데이터용
(S3가 데이터 패턴을 모니터링)
자동화 요금
Glacier 자주 엑세스하지 않지만 보관되어야만 하는 데이터용
[검색옵션]
1. 긴급 검색 (1~5분)
2. 표준 검색 (3~5시간)
3. 대량 검색 (12~48시간)
저비용 스토리지
Glacier Deep Archive Glacier보다 검색시간이 더 걸려도 상관없는 데이터용
[검색옵션]
12~48시간 소요
최저비용 스토리지

 

2일차에는 aws 인스턴스 생성에 필요한 키 페어를 만드려고 했으나, 오늘 공부했던 내용 요약본 올리는거로 대체하기로 했다;;

종종 aws 기초자격증 공부하면서 헷갈리거나 정리가 필요한 내용은 올려두려 한다.

 

공동 책임에 대한 부분이나, IAM에 대해서도 곧 정리해서 올려야겠다.

Comments